정의
재무상태표 (Balance Sheet)의 자본 (Equity) 항목 중 자본금 (Capital Stock), 자본잉여금 (Capital Surplus), 이익잉여금 (Retained Earnings), 기타포괄손익누계액 (AOCI)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자본 구성 요소
주로 자기주식 (Treasury Stock), 주식발행초과금, 주식할인발행차금, 기타자본구성요소 등을 포함
계산식
기타자본항목 = 자기주식 (Treasury Stock) + 주식할인발행차금 + 기타자본구성요소
- (대부분 음수 또는 소액 항목)
- 자기주식: 취득원가 기준 마이너스(-) 표시
- 예: 자기주식 취득 50억 → 자본에서 -50억 차감
- 주식할인발행차금: 액면 미달 발행 시 마이너스(-)
특징
- 주로 자기주식 (Treasury Stock) 처분/취득으로 발생하며 자본 감소 효과
- 자기주식 취득: 자본 감소(현금 유출).
- 처분 시 이익: 자본잉여금 전입(자본 증가).
- 자본의 순액에 영향을 주어 ROE (Return on Equity) 등 지표 왜곡 가능
- 자기주식(-): 분모(자본) 감소 → ROE 상승(인위적).
- 조정 필요: 조정 ROE = 순이익 ÷ (자본 + 자기주식).
- 세법상 자본거래로 배당소득세 회피 수단으로 활용 제한
- 자기주식 처분 이익: 자본잉여금 → 비과세.
- 배당 대체 사용 시 세무조사 대상.
구성
| 항목 | 설명 | 회계 처리 | 예시 |
|---|---|---|---|
| 자기주식 (Treasury Stock) | 자사주 매입 보유 | 자본 차감(-) | 10억 취득 → 자본 -10억 |
| 주식할인발행차금 (Discounts on stock issuance) | 액면가 (par) 미달 발행 시 차액 | 자본 차감(-) | 액면 5천원, 발행 4천원 → -1천원/주 |
| 기타자본구성요소 | 스톡옵션, 전환사채 (Convertible Bond) 전환권 등 | 자본 증가/감소 | 스톡옵션 부여 → 자본 증가 |
기타자본항목 예시 (단위: 억원)
| 항목 | 금액 |
|---|---|
| 자본금 | 100 |
| 자본잉여금 | 50 |
| 이익잉여금 | 80 |
| 기타포괄손익 | 20 |
| 기타자본항목 | -30 (자기주식) |
| 총자본 | 220 |
→ 자기주식 30억 보유 → 실질 주주 자본 220억 (총자본 250억 - 30억)
분석 및 활용
- 조정 자본: 총자본 + 자기주식 (Treasury Stock) (실질 자본 기반 ROE).
- 자기주식 비율: 자기주식 (Treasury Stock) ÷ 총자본 (주주환원 정책 지표).
- 과도한 자기주식: 유동성 저하 → 처분 또는 소각 권장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