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산의 가격 움직임이 특정 지수(예: KOSPI, S&P 500) 대비 얼마나 강하거나 약한지를 측정하는 기술적 분석 지표 주로 투자자가 특정 주식의 성과를 시장 전체와 비교하거나, 강세/약세 종목을 식별할 때 사용
정의
- 상대 강도는 주식의 가격 상승률(또는 하락률)을 특정 지수의 상승률(또는 하락률)과 비교하여 계산
- 주식의 상대적 강도를 평가해 시장 대비 초과 성과(Outperformance) 또는 저조한 성과(Underperformance)를 판단
계산 방법
- 특정 기간 동안 주식의 가격 변화율(%)을 계산.
- 같은 기간 동안 지수(KOSPI, S&P 500 등)의 변화율(%)을 계산.
- 주식 변화율을 지수 변화율로 나누어 RS 값을 구함.
예시
- 삼성전자 주가가 30일간 10% 상승, KOSPI가 5% 상승.
- RS = 10% ÷ 5% = 2 (삼성전자는 지수 대비 2배 강한 성과).
해석
- RS > 1: 주식이 지수보다 강세(Outperform). 시장보다 더 많이 상승했거나 덜 하락함.
- RS = 1: 주식의 성과가 지수와 동일.
- RS < 1: 주식이 지수보다 약세(Underperform). 시장보다 덜 상승했거나 더 많이 하락함.
- RS 곡선: RS 값을 그래프로 그려 추세를 분석. 상승 추세는 강세, 하락 추세는 약세를 나타냄.
활용
- 종목 선정: RS가 높은 주식은 강세로 간주,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 가능성이 높음.
- 섹터 분석: 특정 산업 또는 섹터의 RS를 계산해 강세 섹터를 식별.
- 시장 타이밍: RS가 상승 추세로 전환되면 매수 신호, 하락 추세로 전환되면 매도 신호로 해석 가능.
- 예: 기술주(삼성전자, 하이닉스)의 RS가 KOSPI 대비 높다면, 기술주가 시장 대비 강세임을 의미.
관련 지표
- **RSI(Relative Strength Index)**와 혼동 주의: RSI는 주식 자체의 과매수/과매도 상태를 측정하는 반면, RS는 지수 대비 상대적 성과를 측정.
- 알파 (Alpha)와 연관: RS가 높으면 알파(초과 수익)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.
- 베타 (Beta)**와 비교: 베타는 시장과의 변동성 상관관계를 측정, RS는 단순 성과 비교.
한계
- RS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, 미래 성과를 보장하지 않음.
- 지수 선택(KOSPI, KOSDAQ 등)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.
- 단기 변동성에 민감할 수 있어 장기 추세와 함께 분석 필요.
7. 실제 적용 예시:
- 삼성전자 vs KOSPI:
- 2025년 10월, 삼성전자 1개월 수익률: +12%, KOSPI 수익률: +4%.
- RS = 12 ÷ 4 = 3 (삼성전자는 KOSPI 대비 매우 강세).
- 투자자는 삼성전자가 시장 대비 강한 성과를 내고 있음을 확인, 매수 고려 가능.